미디어예술 컴퓨터예술

‘AI 미술가’ 저작권 인정 논란 커질듯

30년 전과 30년 후의 대표적인 미술을 들라면 '민중미술'과 '인공지능(AI) 미술을 들 수 있다. 사진은 민중미술인 경희대 인문대학 벽화(1990)와 로봇 '픽스18'(컬럼비아대학)이 그린 작품 '사람(Human. 패널에 유채, 30x46cm, 2017). 오른쪽 작품은 2017년 로봇미술경연대회 1위 작품이다 (사진 로봇아트재단).

▲ 30년 전과 30년 후의 대표적인 미술을 들라면 ‘민중미술’과 ‘인공지능(AI) 미술을 들 수 있다. 사진은 민중미술인 경희대 인문대학 벽화(1990)와 로봇 ‘픽스18′(컬럼비아대학)이 그린 작품 ‘사람(Human. 패널에 유채, 30x46cm, 2017). 오른쪽 작품은 2017년 로봇미술경연대회 1위 작품이다 (사진 로봇아트재단).

[시사뉴스 이화순 기자]  미술은 시대상을 반영한다. 1980년대 미술은 군사 독재에 저항하는 민중미술이 주류를 이루었으나, 환경문제가 중요한 이슈로 등장한 이즈음 예술이 생태 이슈도 담는다. 소셜네트워크, 소셜미디어 활용이 일상화되면서 예술은 사회공동체와 지역 공동체와 소통되는 방향으로 가기도 한다. 공공미술 커뮤니티가 활성화되는 것도 낯선 풍경이 아니다. 로봇이 그림을 그리는 인공지능(AI) 미술까지 등장해 ‘기계를 예술로 인정할 수 있느냐’는 논란이 일기도 했다. 또 향후 30년을 내다보면 남북에 국립미술관이 늘어나도 한중일 3국의 장벽이 철폐되고 서구 중심주의가 완화되면서 동북아중심주의가 확산되리라는 예측도 나오고 있다.

오윤은 80년대 민중미술의 출발을 알린 단체 ‘현실과 발언’의 창립 작가로 노동자와 빈민층의 아픔, 우리 민족의 정서를 역동적으로 표현한 민중미술 대표 작가로 꼽힌다. 오윤의 사후 판화 ‘애비’ (1983).

▲ 오윤은 80년대 민중미술의 출발을 알린 단체 ‘현실과 발언’의 창립 작가로 노동자와 빈민층의 아픔, 우리 민족의 정서를 역동적으로 표현한 민중미술 대표 작가로 꼽힌다. 오윤의 사후 판화 ‘애비’ (1983).

1980년대 미술은 군사 독재에 저항하는 민중미술이 주류를 이룬 시대였다. 특히 1980년대 중후반 민중미술은 강세를 띠면서 이전의 심미주의와 모더니즘 주류의 기존 화단에 이단아로 등장하며 화단에 파문을 일으켰다. 대한민국 민주화에 큰 영향을 미치고 사회 운동이 비약적으로 상승하는 계기가 된 1987년 6월 민주화 운동을 전후해 오윤 신학철 홍성담 윤석남 정정엽 김정헌 임옥상 민정기 이철수 강요배 황재형 이종구 김호석 등의 작가들이 리얼리즘 계열의 그림으로 체제비판, 시각문화와 일상 등에 초점에 맞춰 다양한 키워드로 미술과 사회의 관계를 조명한 작품을 내놨다. 또 학생들은 걸개그림을 그리면서 미술은 사회운동을 촉발시키는데 힘을 보탰고, 호흡을 나란히 하는 시대의 산물이 되었다.

1988년 서울올림픽을 계기로 서울 송파구 방이동 43만평에 조성된 세계5대 조각공원 ‘서울올림픽조각공원’. 사진은 세자르 발다시니의 조형물 ‘엄지손가락’.

▲ 1988년 서울올림픽을 계기로 서울 송파구 방이동 43만평에 조성된 세계5대 조각공원 ‘서울올림픽조각공원’. 사진은 세자르 발다시니의 조형물 ‘엄지손가락’.

1990년대는 미술문화의 다양성 개막을 꼽을 수 있다. 1988년 서울올림픽을 계기로 문호가 세계로 열린 이후, 다채로운 외국 문화 공연 및 전시가 붐을 이루었다. 국내에서 처음으로 세계적 수준의 국제미술제를 표방한 ‘광주비엔날레’가 창설된 것도 1990년대 중반인 1995년으로 한국 미술계는 본격적으로 국제미술 이벤트가 확대되고, 동시대 서구 미술이 급격하게 수용되기 시작한다. 또 이전에는 대중화 되지 않았던 설치 미술이 확산되고 정착되기에 이른다.

2000년대는 개방성과 다양성이 정착된 시기로 볼 수 있겠다. 국공립미술관이 증대되기 시작해 경남도립미술관(2004년), 전북도립미술관(2004년), 경기도미술관(2006년), 광주시립미술관(2007년) 등 지역의 도립, 시립미술관이 생겨났다. 이에 발맞춰 작품 구입과 기획전시가 증가되었으며, 정부와 공공기관들이 다양한 채널로 미술계 지원을 대폭 늘리기에 이르렀다.  또 미술품 투자 증대와 미술시장의 확대, 극사실회화 인기와 아울러 신진 작가들이 화단에 대거 진출한 것도 이 시기이다.

광주비에날레 창설(1995년) 이후 각종 국제미술전시, 블록버스터 전시가 붐을 이루었다. 사진은 예술의전당에서 열린 샤갈 달리 뷔페 전시.

▲ 광주비에날레 창설(1995년) 이후 각종 국제미술전시, 블록버스터 전시가 붐을 이루었다. 사진은 예술의전당에서 열린 샤갈 달리 뷔페 전시.

2010년대는 미국 중심의 서구 미술과 동시대성을 특징으로 한 시대라 하겠다. 국립현대미술관의 서울관(2013년)도 개관해 3관 체제를 정립했다. 과천 서울대공원 옆의 국립현대미술관 본관이 교통 불편으로 접근성이 떨어졌다면, 경복궁 앞의 서울관 개관으로 서울의 미술문화가 한층 개화하기 이르렀다. 한국작가들의 국제미술 이벤트 진출이 현저히 증대했는가하면, 사회성 주제의 미술도 증가했다. 화랑 중심에서 서울옥션, 케이옥션 등 미술품 경매가 활성화되고 미술시장이 투명화되기에 이르렀다. 또 1970년대 유신시대 한국 미술판을 지배했던 단색 회화가 해외 미술시장에서의 재평가를 통해서 급부상함으로써 한국미술의 해외 진출을 가속화하는 성취를 이루었다.

문재인 대통령 아들 문준용 작가의 인터랙티브아트 ‘비행’(2017. 금호미술관).

▲ 문재인 대통령 아들 문준용 작가의 인터랙티브아트 ‘비행’(2017. 금호미술관).

컴퓨터 과학의 발전으로 소셜네트워크, 소셜미디어 활용이 일상화되면서 예술이 사회공동체와 지역 공동체와 소통되는 방향으로 가는 것도 새로운 추세이다. 커뮤니티 아트 연구나 문화예술 교육을 통한 지역 공동체 활성화 추구도 새로운 경향으로 나타나고 있다. 또 예술가들이 생태 문제, 사회와 공동체 문제까지 미술 영역으로 흡수해 ‘공공예술 커뮤니티’가 활성화되는 것도 낯선 풍경이 아니다.

그러나 이제 로봇이 그림을 그리고 AI(Artificial Intelligence, 인공지능) 미술까지 등장해 ‘기계를 예술가로 인정할 수 있느냐’ 또 저작권 유무와 소유권에 대한 논란까지 일고 있다. 아마도 이런 논란은 앞으로 더욱 거세어질 것으로 전망된다.

AI미술. 미국 러트거스대학 내 ‘예술과인공지능연구소’에서 만든 작품이다. (사진 미국 러트거스대학 디지털인문학연구소)

▲ AI미술. 미국 러트거스대학 내 ‘예술과인공지능연구소’에서 만든 작품이다. (사진 미국 러트거스대학 디지털인문학연구소)

최열 미술평론가는 향후 30년을 내다보면서 “앞으로 남북 경제협력이 증대되고 국가 연방제가 실현된다고 가정할 때, 남북간의 국립미술관 역시 통일 연방 체제로 제주에서 평양, 평남, 함경도까지 설치되고, 한중일 3국의 국경과 장벽 철폐에 따라 서구 중심주의가 완화되고 동북아중심주의가 확산될 것”으로 내다보았다.


이렇게 된다면 평양과 서울, 북경, 상해, 동경을 잇는 ‘동북아시아미술관’ 창설과 미술문화벨트 형성 및 동북아 미술이벤트 역시 창설이 가능한 시대가 열리지 않을까. (도움말:김영호 중앙대 교수, 이태호 명지대 교수, 최열 미술평론가, 김달진 관장)

텍스트를 추가하거나 입력하기 / 컨텐츠 추가하기

출처-시사뉴스


댓글 남기기

이메일은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입력창은 * 로 표시되어 있습니다